티스토리 뷰
BIS는 대체 뭐고 마테리아 금단은 뭐길래 다들 불꽃놀이를 펑펑 터뜨리는지.
프프로그는 또 뭐길래 서로 내가 더 잘났다고 옥신각신 하는걸까요?
기초편에서 다루지 못한 영식의 세부적인 내용과 그 도전을 위한 준비, 프프로그 분석하는 법에 대해 다룹니다.
작성자 또한 부족합니다만, 이 글로 유입 분들의 걱정과 혼란을 조금이나마 덜어낼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PC 버전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데스크탑 환경에서의 정독을 추천드립니다.
심화편 가이드는 영식 고층, 절 레이드 클리어가 목표인 분에 초점을 맞춰 서술합니다.
극만신 정도로 하드 컨텐츠를 가볍게 즐기실 분도 알아두면 좋은 내용이 많습니다만, 글이 매우 깁니다.
목차
- 영웅 레이드에 대해
- 영식 시스템의 구조
- 영식 도전을 위한 사전 준비
- 장비 아이템 / BIS / 금단 / 공대
- 공략 영상 / 시점 영상
- 딜사이클 / 시너지 / 외생기
- 딜사이클, 오프너, 버스트
- 시너지
- 외생기
- FFlogs (프프로그)
- DPS / HPS
- aDPS
- 프프로그 분석기
- 생존기 / 외생기 분석, 사망 로그
1. 영웅 레이드(영식)에 대해
앞서 설명했듯이, FF14에서 장비 아이템 파밍을 위해서라면 반드시 거쳐야하는 관문입니다. (이하 영식)
영식은 보상 아이템이 많고, '주제한'이라는 시스템이 있어 따로 항목을 두어 서술합니다.
· 영식 시스템 구조
한국 서버 7.2 패치, 아르카디아 : 크루저급 (영웅) 기준입니다.
영식은 1층 / 2층 / 3층 / 4층, 단계별로 총 4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입장 조건과 난이도가 점점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1층을 건너뛰고 4층을 클리어할 수 없는 등, 진행도가 정해져있어 순차적으로 클리어를 하게 됩니다.
영식은 한 확장팩에 총 3개, 즉 메이저 패치 - N.0 / N.2 / N.4 의 짝수 패치마다 새로 추가되는데요.
FF14는 하드리셋 게임이라 새로운 패치가 이루어지면 이전의 최강 장비들의 가치가 없어집니다.
반대로 새싹, 복귀싹, 고인물 모두 새로운 영식에서 사용할 시작 장비가 똑같다는 말입니다.
최근에는 일반 8인 레이드 오픈 후, 1주 정도 지나면 영식 난이도가 추가되고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영식에서 요구하는 장비(그에 필요한 밑재료/비전서), 음식, 탕약 등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본인의 직업 딜사이클에 변화가 있다면 새로운 딜사이클도 익혀둬야하죠.
영식의 보상이 얼마나 매력적인지도 볼까요?

4층을 제외하고 각 층마다 아이템이 4개 드랍 됩니다.
4층의 랜덤 무기를 제외하고 모두 상자로 드랍 되기에 원하는 직군으로 장비 획득이 가능합니다.
다만 현역 영식은 주제한이라는 시스템이 있어 파밍이 까다롭고, * 버스 / 학원 파티 등이 힘듭니다
* 버스 파티 : 스펙이 좋고 숙련된 유저가 스펙이 부족하거나 미숙한 유저들 몫까지 보완하는 파티.
조금 차이가 있지만 학원 파티도 이와 유사한 의미입니다.
Q. (영식) 주제한이란?
캐릭터 당 주 1회 보상 획득권(주간 보상권)을 가집니다. 주 1회 보상 획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보상 획득 여부와 관계없이 클리어 했다면, 그 일주일 동안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집니다.
주제한 초기화는 FF14 한국 서버 기준 매주 화요일 오후 5시에 이루어집니다.
※ 입장 시간이 기준입니다. 화요일 오후 5시 이후에 클리어 하더라도, 레이드 입장시간이 오후 5시 전이었다면 초기화 전으로 취급합니다.
그러므로 주제한 초기화 전까지 또 클리어를 하더라도 보상 획득이 불가합니다.
그리고, 보상 획득권을 가진 파티원(주간 미클자) 수에 따라서 보상 아이템 수가 달라집니다.
※ 주간 미클자 수 4명 단위로 드랍되는 보상 갯수가 달라집니다.
| 주간 미클자 수 | 보상 아이템 갯수 | 용어 |
| 8명 | 4개 | 2상자 (2상, Full보상) |
| 4명 ~ 7명 | 2개 | 1상자 (1상) |
| 0명 ~3명 | 0개 | 0상자 (0상, 무상) |
사전에 보상이 적거나 없음을 고지했다면 괜찮지만, 기본적으로 2상(풀보상)을 전제로 둡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상자 사고'라 하여 무척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합시다.
힘들게 클리어 했더니 보상이 적거나 없다면... 게다가 일주일에 한 번 밖에 못 먹는 보상인데, 무척 짜증나겠죠?
예시입니다.
수요일에 3층을 2상으로 클리어 했지만 주사위의 불운으로 아무런 상자 보상을 못 먹었습니다.
같은 주 금요일에 3층을 클리어 하지 못한 지인을 도와주러 간다고 합시다.
입장 후 확인 해보니, 3층을 이미 클리어 하고 온 사람은 총 3명입니다.
만약 클리어 했다면, 이 때 이미 클리어 하고 온 3명은 주사위 입찰 자체가 불가능 합니다.
또한 보상 획득권이 5명밖에 안 되므로, 보상 아이템은 2개(1상)가 나오게 됩니다.
단순히 해당 층을 입장을 한다고 해당 층의 보상 획득권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저층을 클리어 하지 않았는데 고층에 먼저 입장할 경우, 저층의 보상 획득권은 사라지게 됩니다.
이 경우에는 저층의 낱장 파밍도 불가능하니 정말 주의하셔야 합니다.

Q. 저층의 아이템은 다 먹었기도 하고, 귀찮아서 4층만 바로 가고싶어요.
진행도 때문에 이전 층 클리어 직전까지는 4층 입장이 막혀있을텐데요.
4층 입장이 가능한 상태인 사람이 파티장으로 4층 입장을 하면, 저층을 건너 뛴 파티원도 입장 됩니다.
Q. 상자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이 있나요?

임무 찾기 창 왼쪽 하단에 매칭 조건과 목적을 설정하면 조건에 부합하는 사람만 입장이 가능합니다.
참가 조건에 맞지 않는 파티원이 있을 경우, 입장이 시스템상으로 거부 됩니다.
- 매칭 조건 : 공략완료(클리어 전적이 있는 사람, 클자) / 미완료(한 번도 클리어 전적이 없는 사람, 미클자)
- 목적 : 완료 목적 (2상, 주간 클자는 입장 불가) / 연습 (주간 클자 / 미클자 구분 없이 입장 가능)
상자 사고가 나는 일이 없도록 입장 전, 파티장은 꼭 임무 찾기 - 매칭 조건 / 목적 을 체크합시다.
Q. 주제한도 있으면서 보상을 계속 못 먹으면 어떡해요? 아이템을 먹을 때까지 가야하나요?

각 층마다 주 1회에 아이템으로 교환 가능한 토큰(낱장)을 줍니다. 낱장으로 아이템을 교환할 경우 '정가'라고 표현합니다.
교환 갯수는 아래와 같으며, 4층 낱장의 경우 다른 층의 낱장으로 1:1 교환이 가능합니다.


※ 인벤토리의 공간이 부족할 경우 보상은 들어오지 않으니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파밍하도록 합시다.
· 영식을 위한 장비 아이템 준비
장비 불량이라면 HP / 방어력 부족으로 적정 힐업 / 보호막을 받아도 죽거나, 딜이 모자라게 됩니다.
특히 영식부터는 장비에 따라 클리어 여부가 갈리기도 합니다, 중요하니 꼭 적정 장비를 챙겨주세요.
FF14는 장비빨이 전부라고 할만큼 장비의 아이템 레벨이 가장 중요합니다.
장비의 부가 능력치의 선호도가 낮더라도, 장비 아이템 레벨에 따라 주 능력치 수치가 높아지거든요.

보통 장비 아이템 레벨은 나열한 순서대로 각각 레벨 5~10 차이를 두고 높아집니다.
비슷한 시기에 업데이트 된 컨텐츠 기준입니다. 영식 오픈 후 다음 패치에 추가되는 만렙 던전 또는 극만신 장비는 조금 차이가 납니다.
ex. 7.05 패치에 추가된 영식 장비 템렙은 730렙, 7.1 패치에 추가된 만렙 던전 장비 템렙은 705렙
- 무작위 : 숙련자 (만렙) 던전 장비
- (주제한 X) 석판 장비
- 극만신 장비 / 일반 레이드 장비 /제작 장비
- (주제한O) 미보강 석판 장비 / 24인 레이드 장비 / 제작 보강 장비
- 보강 석판 장비 / 영식 장비
- 영식 무기 / 절 무기
※ 제작 장비일 경우 NQ와 HQ일 때 스탯 차이가 있습니다. HQ 장비로 준비해주세요.
※ 영식 무기는 보강 석판 장비 / 영식 장비보다 템렙이 5레벨 더 높습니다.
※ 절 무기는 영식 무기와 템렙은 동일하나, 확정 마테리아 칸이 3칸입니다.
※ 영식 이후 마이너패치(홀수 패치, N.1 / N.3 / N.5)에 제작 장비와 석판으로 보강하여 아이템레벨 +10이 가능합니다.
- 장비 파밍 예시 (7.2 패치 기준)
메인퀘, 무숙 던전 진행 : 직업별 고유 장비(잡룩) , 7.2 무숙 던전 장비 - 725레벨
천도 석판 : 주제한 없는 석판 장비 - 720렙 장비. 주제한이 없으므로 빠르게 획득 가능합니다.
극만신 / 일반 8인 레이드 : 745렙 무기 / 740렙 장비. 이전 730렙 장비 또는 740제 제작 장비를 착용하고 갑시다!
제작 장비 : 740렙 장비. 제작직이 만렙이거나, 게임 재화에 여유가 있다면 장터 구매 가능합니다.
7.3패치에 석판으로 제작 장비를 보강하여 750렙 장비로 변경 가능합니다.
수리 석판 : 주제한 있는 석판 장비 - 750렙 장비. 주에 석판 450개가 한도이므로, 장비를 신중하게 교체하세요.
석판에 여유가 있다면 최대한 교체하면 좋습니다. 보강재로 보강하면, 760렙 장비로 강화 가능합니다.
영식 장비 : 760렙 장비. 740렙 장비들을 착용 후, 영식에서 무기/장비/악세 등으로 교체하면 최종 장비가 됩니다.
영식 보상인 석판 보강재(강화 섬유, 경화약)로 수리 장비를 760렙 보강 석판 장비로 교체 가능합니다.
대략적인 순서는 이렇지만, 빠른 파밍에 욕심이 없다면 수리 미보강 장비로 우선 교체하면 좋습니다.
7.3 패치 이후, 24인 레이드 토큰과 마물 전리품으로 석판 보강재를 획득 할 수 있습니다.
Q. 철 지난 영식도 BIS를 맞춰야 하나요?
패치 추가로 다음 시즌의 영식이 추가되었다면 이전 영식들은 BIS를 챙기지 않아도 됩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듯 패치로 새 영식이 추가되었다면 이전 영식 장비들조차 무용지물이 됩니다...
현재 최강 장비를 입으셔도 되지만, 이 최강 장비가 입장 조건 아이템 레벨 이상이어야 합니다.
ex. 7.2 패치가 적용됐다는 가정 하, 7.0 패치에 추가된 영식에 가는데 7.0패치 이전에 추가된 장비를 입으면 곤란하겠죠...
동일한 아이템 레벨 장비일 경우, 선호도가 높은 능력치가 붙은 장비를 선택합니다.
장비 부위에 따라서도 주 능력치 상승 차이가 있기 때문에, 장비 변경 시 우선도를 고려하면 좋습니다.
(ex. 무기, 상의, 하의 > 머리, 장갑, 신발 > 장신구 순으로 주 능력치 증가 폭이 큽니다.)
딜 증가 능력치의 선호도가 가장 높고 나머지 능력치는 특이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하는 경우가 드뭅니다.
* 능력치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 주요 능력치 (장비에 기본적으로 붙어있는 능력치, 현재 주 능력치 관련 마테리아는 모두 사용 불가능.)
- 활력(vitality) : 생명력, 탱커 주 능력치.
- 정신력(Mind) : 회복 마법 위력, 힐러 주 능력치.
- 힘(Strength) : 근접 물리 공격 위력, 용기사/리퍼/몽크/사무라이의 주 능력치.
- 민첩성(Dexterity) : 원거리 물리 공격 위력, 닌자/바이퍼/음유시인/무도가/기공사의 주 능력치.
- 지능(Intelligence) : 공격 마법 위력, 흑마도사/적마도사/소환사의 주 능력치.
▶ 부가 능력치
- 딜 증가 (이해를 위해 간략하게 표기했습니다.)
- * 극대(CRT,critcal hit) : 확률적으로 큰 치명타 대미지, 높을 수록 발동 확률과 대미지 상승.
- * 직격(DH, Direct Hit) : 확률적으로 고정 대미지 추가, 높을수록 발동 확률 상승.
- * 의지(DET,Determination) : 기본 대미지 위력 소폭 상승.
Q. 극대 / 직격 확률이 올라간다는게 뭔가요?



직격 : 발동할 경우 기존 공격 대미지의 폰트보다 조금 더 크게 표시됩니다.
극대 : 발동할 경우 기존 공격 대미지의 폰트보다 크게 표시되고, 느낌표 ! 가 붙습니다. 흔히 말하는 치명타.
- 이 둘이 동시에 발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폰트가 크게 표시되고, 느낌표 두개 !!가 붙습니다.
즉, 추가타 / 치명타 확률을 올린다고 생각해주세요.
- 스킬 사용 속도
- 기술시전속도 / 기시(SKS/SS,Skill Speed) : 글쿨이 도는 속도 증가, 투사용.
- 마법시전속도 / 마시(SPS/SS,Spell Speed) : 캐스팅 속도 증가, 캐스터용.
- 기타
- 불굴(TEN, Tenacity) : 공격, 회복, 방어 소폭 증가. 탱커용.
- 신앙(PIE,Piety) : 3초당 회복하는 MP량 증가. 주로 힐러용.
Q. 그럼 특정 능력치를 무조건 많이 챙길수록 좋겠네요?
아닙니다. FF14의 능력치는 계단식 상승하기에 일정 수치를 넘겨야 효과를 보는 구조입니다.
ex. 극대 수치가 10씩 증가할 때마다 치명타 발동 확률은 0.1% 상승, 대미지가 0.1% 높아집니다.
만약 극대 능력치 수치를 애매하게 5 올려두었다면, 이 수치 5는 무의미하게 버려집니다.
너무 복잡해요. 이걸 스스로 다 계산하나요?
그런 당신을 위해 준비된 BIS표가 있습니다. BIS에 대해 서술합니다.
* BIS에 대해
Best In Slot 의 약자로 가장 높은 아이템 레벨의 장비와 최상의 부가 옵션을 조합한 세팅입니다.
다음 패치 업데이트 전까지 가장 최강의 장비 세트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패치 버전+직업 키워드로 검색하면 고수들이 계산한 최적의 BIS 세팅이 나오니 따라하시면 됩니다.
보통 최종 BIS는 보강 석판 장비 + 영식 장비(+절 무기)를 조합한 것 입니다.
:: 번외. 7.2 패치 기준 BIS표
7.2 지천의 좌 아르카디아 : 크루저 급 (영식) BIS
ABCDEFGHIJ지천의 좌 아르카디아 : 크루저급(영식) BIS (Patch 7.2) 안내사항▶ 이전 메뉴로■ 해당 bis는 초기본입니다. 밸런스디코 확정 bis로 작성하되 수정될 수 있습니다.■ bis표 하단에 Etro 혹은 이
docs.google.com
[파판14] 황금 7.2 BIS - 게임 메모장
7.2 bis = 7.21 bis = 7.25 bis = 7.3 bis 영식을 가지 않으면 bis를 맞출 수 없다.
ffxiv-fudge.com
Q. BIS표가 여러 개인데요?
딜 특화, 가성비(금단 장비 대신 극만신 장비, 일반 레이드 장비 등으로 대체) 또는 고마시 등 다양한 BIS표가 있을 겁니다.
딜을 우선시 하거나, 저렴한 장비 위주, 빠른 기시/마시 등 취향에 맞는 BIS를 고르시면 됩니다.
특히 힐러일 경우 추천 BIS일 뿐, 힐 경향 및 선호하는 옵션이 각자 다르므로 정답인 BIS가 없습니다.
Q. 마음에 드는 BIS가 없어요.
Etro
etro.gg
(일문/영문) 위의 사이트에서 직접 장비들과 마테리아를 골라서 예상 딜 수치, 기시/마시 등을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장비와 마테리아를 선택 후 왼쪽 하단에 보시면 DPS 기댓값을 출력하여 보여줍니다!

▶ 금단?
마테리아 금단이라고 하여 확정 마테리아 슬롯 이외에도 마테리아 추가가 가능합니다.
장비마다 확정 슬롯을 포함하여 마테리아를 최대 5개까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장비가 금단이 가능한 것은 아니고 비전서로 제작한 신식 제작 장비만 마테리아 금단이 가능합니다.
(덧붙여 금단은 제작직 만렙을 찍거나, 제작직 만렙 유저에게 의뢰를 하면 가능합니다.)
게다가 확정 슬롯을 제외한 3~5슬롯부터는 마테리아 장착시 확률적으로 장착이 됩니다.
마테리아 등급이 높을수록, 슬롯 수가 커질수록 장착 성공 확률은 줄어듭니다.
FF14가 허락하는 가챠 세 종류.
마물 소환작, 터주 낚시, 그리고 마테리아 금단...
ex. 3슬롯에 하이알테마마테리쟈를 박을 경우, 금단 성공 확률은 15%가 됩니다.
5슬롯에 하이오메가마테리쟈를 박을 경우, 금단 성공 확률은 7%가 됩니다.
고로 운이 나쁠 경우 게임 재화가 어마무시하게 들어갈 수 있다는 점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장비에 마테리아를 5 슬롯으로 전부 꽉 채웠을 경우를 Full금단 했다고 합니다.
7.0 황금의 유산 기준, 마테리아는 하이알테마마테리쟈와 하이오메가마테리쟈를 사용합니다.
하이알테마마테리쟈는 확정 슬롯 +1까지 부착되므로 5슬롯을 전부 하이알테마마테리쟈로 채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금단은 어디까지나 딜 상승을 위한 부가적인 것이므로, 개인차가 있습니다.
후발 주자라면, 주차가 지날수록 주제한 석판 재화나 24인 레이드 장비 등 선택지가 많아지니 금단 하지 않아도 됩니다.
Q. 그렇다면 금단이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요?
- 초기 주차(1~3주차)에 3~4층과 같은 영식 고층까지 클리어를 원할 경우
- 직업 숙련도가 낮은 편이라 장비로 딜을 조금 보완하고 싶은 경우
- 후발 주자라도 주제한 석판 재화가 부족하여 게임 재화로 보완하고 싶은 경우
Q. 금단할 돈이 없어요. 제작 장비도 비싸고 마테리아도 너무 비싸요.
여유를 가지고 출발하면 됩니다. 신식 제작 장비도 초기에 비쌀 뿐 시간이 지나면 가격이 내려갑니다.
그럼에도 게임 재화에 여유가 없다면, 주제한 석판 / 일반 레이드 / 24인 레이드 장비들을 착용합시다.
그리고 영식 저층부터 차근차근 파밍을 시작하여 하나씩 영식 장비로 교체 후 고층까지 도전하면 됩니다.
Q. 풀금단 템과 아닌 템이 얼마나 차이 나는데요?
최근에 흥미로운 분석글이 있기에 인용을 해봅니다.
결론 : 풀금단이 일반 제작 장비보다 대략 장비 템렙 +5 정도의 딜 상승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4층 갈건데 풀금단 꼭 해야하나요??
www.inven.co.kr
:: 번외 - 절 BIS
현역 절 BIS는 해당 영식 장비와 석판 보강 장비를 요구합니다. 최종 BIS를 맞추도록 합시다!
(후발 주자일 경우 해당 영식 장비 + 석판 보강 장비 + 신규 던전 장비와 조합하기도 합니다.)
Q. 철 지난 절 토벌전의 장비는 어떻게 맞추나요?
조율될 시 장비 능력치가 최대로 조율이 되느냐, 되지 않느냐 기준으로 BIS를 준비합니다.
장비가 조율이 될 경우, 장비에 장착한 마테리아는 효과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장비 아이템 레벨이 조율되는 레벨과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장비 능력치 수치는 최대치로 조율 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마테리아 적용되는 수치보다 조율된 능력치 수치가 낮다면 손해입니다.
ex. 절용시 경우, 조정되는 능력치 스탯 수치는 269이므로 장비 아이템 능력치가 269 이상이어야 합니다.
장비의 능력치 수치가 269 미만일 경우에 조율이 된다면, 수치가 269 아래이므로 체력 또는 딜 손해를 보겠죠.
성장 무기(ex.에우레카, 보즈야, 맨더빌)는 마테리아 장착이 불가능한 대신 부가 능력치가 3개이므로 추천합니다.
딜 상승 효과가 있긴 하지만 성장 무기 최종 단계를 사용해야하므로, 필수는 아닙니다!
7.0 황금의 유산 기준 절바하/절테마/절렉은 캐릭터 조율 레벨+10 이상 착용 장비면 됩니다.
(ex. 절바하/절테마 레벨 70 조율이므로 캐릭터 레벨 80 장비라면 상점 NQ템도 OK)
7.2 패치 기준, 절용시/절메가는 크루저 영식 장비를 포함한 BIS라면 이전 현역 BIS를 맞추지 않아도 됩니다.
절에덴의 경우, 7.1 최종 BIS(멸 장비 포함도 OK)를 8.05 패치 이전까지 사용합니다.
위 설명이 어렵다면, '최소한 다음 확장팩이 나와야 BIS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정도로 이해해주세요.
혹시 몰라 7.15 패치 기준 6절 BIS표 아래에 첨부해둡니다.
7.15 기준, 멸 24인 장비가 추가되어 절에덴의 경우 일부 장비는 멸 24인 장비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파이널판타지14 Patch 7.05 6절 BIS 모음시트
ABCDEFGHIJKLMNOPQRSTUVWXYZAAABACAD7.0 적용시 절바하 / 절테마 / 절렉은 통합예정입니다효월의 종언 절 바하무트 레지스탕스 BIS (템렙 470 이상)작성자 1대 : 쮸냥@모그리2대 : 정윤성@초코보절바하/절테마/
docs.google.com
[파판14] 절 레이드 bis - 게임 메모장
모든 직업의 모든 절 레이드 bis
ffxiv-fudge.com
· 영식 / 절의 공략 영상과 시점 영상
7.0 패치 기준, 영식 / 절 공략법은 Rominny님네 영구정지(09STOP)가 배포하는 공략법을 많이 채택합니다.
Rominny
파이널판타지14 마나데센 타이탄서버 Ro Minny
www.youtube.com
공략 영상을 제작해주시는 분들께서 관련 영상과 공략 시트를 함께 배포해주시므로 참고합시다.
영식 / 절 부터는 기믹의 가짓수가 많고, 처리법이 복잡합니다. 그래서 공략법 또한 분량이 매우 긴데요.
극만신 때처럼 공략 영상을 한 번 보는 정도로 가볍게 공부한다면, 분명 이해가 어려운 기믹도 있을 겁니다.
영상과 시트를 참고하여 기믹의 원리를 이해하고, 본인의 직군이 수행할 기믹 처리법을 영상으로 확인하며 공부합시다.
예시입니다. 작성자의 영식~절 난이도 공략 공부 하는 방법 입니다.
1. 공략 영상을 한 번 정독하며 기믹 순서 및 흐름을 대강 파악합니다.
2. 공략 시트를 켜두고 영상과 대조해가며 기믹의 원리 이해 및 처리법을 외워봅니다. 이때 필기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3. 공략 영상을 다시 보며, 생존기 / 힐택틱 / 외생기 등 부가적인 스킬 사용 타이밍을 외워둡니다. (시트 참고도 합니다.)
4. 시점 영상을 여러 개 찾아보며 기믹 처리를 시뮬레이션 해보거나, 스킬 사용 등 참고할 부분이 있다면 체크해둡니다.
:: 번외. 절 레이드 공략법 (7.0 한국 서버 기준)
- 절바하
연성구 역삼각 - 번개 HTD - 연격 V자 산개 - 군룡 탱리 / 사고 시 정공 - 아크몬24 탱리
절 바하무트 토벌전
공략 및 팁 모음
www.youtube.com
- 절테마
시공 - 난격 : 탄광 - 에테르폭뢰1133 - 랜만신 내외내, 가루다 배밑
user-eb8wg9en1a
www.youtube.com
- 절렉
1페 : 세파레 - 주사위 : 1211 - 2페 : 까마귀 - 3페 : 09정지 - 4페 : 갓김치, 올마이티 ㅁ자처리
절렉 공팟국룰 공략
www.youtube.com
- 절용시
09정지, 6페 : 아크몬 대각33 (흐레 중앙시 니드 앞 채용하기도 함.), 산금무(산개, 금지징 - 쉐어, 무징 쉐어 순)
09STOP / 영구정지 절용시 공략 모음
www.youtube.com
- 절메가
09정지, 3페 : 모니터 우선순위 HTDH, 5페 오메가 : 모니터 - 속박징 / 개인 - 공격1, 2
절 오메가 검증전
www.youtube.com
※ 절메가 징맨 매크로 HUD 설정
절 오메가 징맨 매크로
실전영상 준비물 - 화면 상에 있는 비어있는 단축바 3개 (표시되어있을 필요는 없음) - 화면 상에 있을 필요는 없는 비어있는 단축바 3개 (ex. '검술사 단축바' 같은 클래스 단축바) - 매크로 31칸 (
pastree.tistory.com
- 절에덴
09정지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LKbhhoV_L8VVcdbKEVilZJNl1in4U_-H&si=9yUNiXfuAakYVSeB
09STOP 절 또 하나의 미래
www.youtube.com
Q. 직업 별 시점 영상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까요?
과거에는 시점 영상 자료가 적었으나, 최근 들어 시점 영상 자료 수가 매우 늘어났습니다.
공략 영상을 보고 기믹 이해를 완료했고, 여유가 있다면 시점 영상을 검색해봅시다.
기믹을 회피 /처리법, 무빙, 스킬 사용(딜사이클), 생존기 / 힐택틱 / 외생기 등 참고할 부분에 중점을 둡니다.
(자막으로 영상에 해설을 붙여주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물론 시점 영상 속의 그 분들이 실력자라 해서 시점 영상과 똑같이! 그대로! 해야한다는 강박은 내려두셔도 됩니다.
:: 번외. 시점 영상 검색하기
해당 레이드 + 직업 키워드로 포털 사이트, 유명한 동영상 사이트에 검색하시면 됩니다.
한섭 시점 영상의 수가 적을 경우, 해외(글섭)의 시점 영상을 찾아보셔도 됩니다.
난이도 / 절 레이드 영문명
- 극만신 Extreme
- 영식 Savage
첫 번째 영식 1~4 / 두 번째 영식 5~8 / 세 번째 영식 9~12 로 각각 표기합니다.
ex. 라이트헤비급 : AAC M1~M4 / 크루저급 : AAC (Cruiser) M5~M8 / 7.4 영식 : AAC M9~M12
- 절 레이드 Ultimate
절바하 : UCOB / 절테마 : UWU / 절렉 : TEA / 절용시 : DSR / 절메가 : TOP / 절에덴 : FRU
직업별 영문명
- 탱커 : 전사 WAR / 나이트 PLD / 암흑기사 DRK / 건브레이커 GNB
- 힐러 : 백마도사 WHM / 점성술사 AST / 학자 SCH / 현자 SGE
- 근딜 : 용기사 DRG / 몽크 MNK / 닌자 NIN / 사무라이 SAM / 리퍼 RPR / 바이퍼 VPR
- 유격대 : 음유시인 BRD / 기공사 MCH / 무도가 DNC
- 캐스터 : 흑마도사 BLM / 소환사 SMN / 적마도사 RDM / 픽토맨서 PCT
Q. FF14 레이드 시뮬레이터 사이트가 있던데, 사용해도 되나요?
레이드의 특정 기믹을 미니 게임처럼 시뮬레이션 할 수 있게 만들어둔 비공식 사이트가 있습니다.
외부 프로그램이고, FF14의 클라이언트를 불법적으로 사용합니다. 유저들 사이에서도 사용에 대해 호불호가 있어요.
그러므로 공개적인 장소에서 비공식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무분별한 언급은 삼가 주시길 바랍니다.
다만... 본인이 필요성을 느낀다면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것도 연습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영식 / 절 공대 모집 및 가입
기초편 가이드에서 공대와 관련한 내용을 작성했습니다만, 추가적으로 더 짚고 넘어갑니다.
공대는 8명의 파티원이 정해진 시간에 트라이 / 파밍을 장기적으로 진행합니다.
- N주출 : 영식 오픈으로부터 N주가 지나면 출발. 4주출이라면 영식 오픈 후 4주 뒤에 출발하는 것.
- N주파밍 : N주차 동안 파밍만 진행. 보통 풀파밍까지 8주 소요하므로 8주 파밍이 일반적.
- 조기출 : 영식 오픈 후, 빠른 시일에 트라이를 하는 것. 보통 1~2주차를 조기 출발로 봄.
장비 선택지가 적고 딜에 여유가 없기에 클리어가 후발 주자에 비해 힘듦.
가볍게 영식 경험을 해볼 것인지, 진지하게 영식 / 절을 클리어하고 아이템 파밍까지 고려할 것인지 정해야겠죠.
영식 / 절 공대는 클리어를 목표로 하는 공대가 많으므로, 일정과 목표를 정확하게 계획해두면 좋습니다.
공대에 가입 하기 전에, 본인의 게임 플레이 성향을 잘 생각해보도록 합시다.
클리어에 크게 연연하지 않고 재미를 추구하는지, 아니면 빡빡한 일정과 클리어의 성취감을 원하는지.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과 공대 분위기가 다르다면 생각보다 힘듭니다.
공대를 만들어서 본인이 공대장을 해보고 싶은 경우에는 더욱 신중해야합니다.
물론, 공대장은 특별한 능력이 있어야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책임감을 가지고, 친분에 연연하지 않고 공과 사를 확실히 할 줄 알며, 본인의 감정을 잘 조절하셔야합니다.
그래야 공대원 간 소통을 조율할 수 있고, 공대원에게 피드백이 필요할 때도 서로의 감정이 상하는 일이 없겠죠.
Q. 영식 공대에 가입하고 싶은데 이전 영식 로그가 없어요.
초기 주차에 출발하는 공대일수록 이전 하컨 경험의 유무를 중시합니다.
장비의 선택지가 적다보니 딜이 부족할 수도 있고, 기믹 안정화 속도가 빨라야 빠른 클리어에 유리할테니까요.
느긋하게 출발한다면, 모집 조건이 많이 완화된 공대들도 모집을 시작하니 여유를 가져봅시다.
만약 극만신 로그의 성적이 꽤 우수하다면 조건에 조금 미달되더라도 공대 가입 문의를 해봅시다.
열심히 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한다면, 긍정적인 답을 받을 수도 있으니까요.
만약 첫 영식이라면 추천하진 않지만... 그래도 자신 있다면 본인이 직접 공대를 만들고 모집해도 되겠죠?
Q. 조기클 목표 공대에 가입하고 싶은데, 경험 부족으로 가입을 모두 거절 당했어요.
너무 안타깝고 슬픕니다만... 하는 수 없습니다.
초기 주차에는 공팟 모집도 활발히 이루어지므로 공팟으로 조기클을 노려보는 것도 새로운 도전이 될 겁니다!
본인의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공대에 너무 목맬 필요는 없습니다.
Q. 공대를 꾸릴 때, 어떻게해야 분별력 있게 파티원을 모을 수 있을까요?
일단 공대의 목표를 확실히 정해야겠죠. 그래야 지원자들도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가입 문의를 할테니까요.
무작정 이전 영식 / 절 레이드의 DPS 로그를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조건들도 고려할 수록 좋을겁니다.
특히 탱/힐 직군의 경우 DPS 뿐만 아니라 생존기/외생기/힐업 등 특수 스킬 사용 내역도 꼭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로그가 당사자의 직업 이해도를 판가름 하는 1차 필터가 될 수는 있지만, 모든 걸 필터링해서 보여주진 않습니다.
· 작성자의 개인적인 공대 고르는 기준.
1. 모집 조건 / N주차 클 등 목표가 확실하고, 목표를 위해 투자하는 공대 일정이 충분한 공대.
(ex. 영식 4주클이라면, 주3회 / 총 6시간 이상 공대 일정 진행. 목표 미달성 시, 추가 2릴 또는 해산.
모집 조건 또한 절 로그도 좋지만, 딜 뿐만 아니라 외생기 사용 등 영식 로그, 클리어 날짜를 보는 쪽이 더 좋았습니다.)
2. 지인 관계가 많은 공대는 피하기
모든 공대가 지인플은 자제하려고 노력하겠지만, 5인 이상의 지인 공대는 신중히 가입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 비즈니스 공대.
공대원끼리 하하호호 친해지면 참 좋겠지만, 공대는 일단 비즈니스 모임이라는 사실.
(애초에 라이트 공대면 상관 없습니다만) N주차가 지나도 클리어를 못했을 때, 서로 웃으면서 보기엔 쉽지 않죠...
2. 딜사이클 / 시너지 / 외생기
기초편 가이드에서 딜사이클 / 시너지 / 외생기 에 대해 가볍게 설명하고 지나갔습니다.
들어가기 앞서, 용어를 한 번 더 정리하고 넘어갑니다.
* FF14의 스킬 사용 체계 - 딜사이클, 오프너, 버스트
- 딜사이클(Deal Cycle) : 높은 딜을 내기 위해 체계적으로 짠 스킬의 사용 순서
- 오프너(Opener) : 오프닝이라고도 함. 전투 시작 시 사용하는 스킬 순서, 딜사이클의 시작 부분.
- 모든 스킬이 사용 가능한 상태이므로 강한 화력을 낼 수 있는 타이밍
- 오프너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다면 이후 딜사이클이 모두 꼬여버린다.
- 버스트(Burst) : 극딜, 각 직군의 가장 강력한(고화력) 공격 또는 핵심 공격 스킬들을 사용
- 오프너와 비슷하게 강한 화력을 낼 수 있는 타이밍
- 홀수 버스트 : 버스트가 가능하지만 (-시너지-버프가 없는) 2분 버스트보다 조금 약한 버스트.
- 짝수 버스트 : 시너지 같은 버프 스킬을 함께 사용하므로 강력한 버스트 가능
- 오프너와 비슷하게 강한 화력을 낼 수 있는 타이밍
- 필러(Filler) : 딜사이클 내에 스킬 정렬을 위해 채워넣는 스킬 / 자원을 쌓기 위한 스킬
공통적으로 모든 직업은 오프너 / 1분 / 2분 마다 버스트 스킬을 사용하고,
나머지(필러)는 버스트에 필요한 자원을 쌓거나 스킬 쿨 정렬을 기다리며 딜사이클을 굴리게 됩니다.
Q. 직업별 딜사이클은 어떻게 찾아보나요?
FF14 커뮤니티 중, 직업 가이드에 관련하여 가장 신뢰도가 높은 'The Balance'를 추천합니다.
Home
The Balance Home Page
www.thebalanceffxiv.com
*시너지
파티 전체에 대미지 증가 / 극대, 직격 확률 증가 효과를 주는 스킬들을 시너지라고 합니다.
모든 파티원이 동시에 시너지를 사용하고, 이 시너지가 유지 되는 동안 각 직군의 버스트 스킬을 사용합니다.
점성술사 - 카드, 무도가 - 마주서기는 개인에게 적용되는 버프로 시너지와는 결이 조금 다릅니다.
※ 두 직업의 특수성에 관련하여 따로 서술하지 않습니다. 레이드마다 운용 방법이 확연히 달라집니다.
시너지 스킬이 있는 직업과 없는 직업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너지가 있는 직업은 전체적인 딜은 조금 낮은 대신 파티 기여도가 높습니다.
시너지가 없는 직업은 파티 기여도가 낮은 대신 매우 높은 딜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 시너지 유무 | 용어 | 해당 직업 |
| 시너지 O | 시너지 직업 | 점성술사, 학자, 용기사, 몽크, 닌자, 리퍼, 음유시인, 무도가, 소환사, 적마도사, 픽토맨서 |
| 시너지 X | 퓨어 직업 | 탱커, 백마도사, 현자, 사무라이, 바이퍼, 기공사, 흑마도사 |
▶ 시너지 효과별 정리
비슷한 효과끼리 묶었지만, 증가량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 효과 | 시너지 스킬 | |||||||||
| 주는 피해량 증가 |
![]() |
|||||||||
| 몽크 도원결의 |
닌자 강탈 |
리퍼 신비의 원 |
점성술사 점복 |
음유시인 빛신의 종곡 |
무도가 기교 마무리 |
소환사 타오르는 빛 |
적마도사 성원 |
픽토맨서 하늘 구현 |
||
| 극대화 확률 증가 |
![]() |
|||||||||
| 용기사 전투기도 |
학자 연환계 |
|||||||||
| 직격 확률 증가 |
![]() |
|||||||||
| 음유시인 전장의 노래 |
||||||||||
Q. 시너지는 언제 사용하면 되나요?
여러 시너지가 동시에 적용되면, 시너지끼리 서로 상호작용하며 더 높은 딜 기댓값을 불러옵니다.

7.08 패치 기준, 시너지는 지속시간 20초, 쿨타임 120초(2분)로 동일합니다.
오프너에서 전 직업이 2~3글쿨에 사용하며, 쿨마다 (2분 / 4분 / 6분 등 짝수 분에) 묶어서 사용합니다.
무도가 - 기교 무도는 4글쿨이 소모되므로 무도가만 유일하게 오프너 4글쿨에 시너지를 사용합니다.
전투 도중 보스가 사라지는 구간(다운타임)과 시너지 사용이 겹칠 경우, 시너지를 미뤄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ex. 연옥 영식, 1층 - 포식 때 시너지가 돌아오지만, 보스가 사라지므로 시너지를 미룹니다.)
단, 시너지의 총 사용 횟수에 변동이 없을 때만 미뤄서 사용하고, 미뤘을 때 총 사용 횟수가 감소한다면 그냥 씁니다.
ex. 한 판당 시너지의 총 사용 횟수는 4번인데, 만약 시너지를 미뤄서 총 3번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면 미루지 않습니다.
라헤 4층 (영식) 경우 후반 페이즈 직전에 시너지가 약 8초 낭비되지만 미루지 않는 이유입니다.
* 외생기
회복 / 배리어 효과가 있어 파티의 유지력에 도움을 주는 스킬을 외생기라 합니다.
모든 직업은 힐러들의 힐 부담을 덜어주고, 파티의 생존력을 올려주는 스킬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레이드 구조상, 힐러의 힐과 보호막으로만 생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외생기 사용이 필수적 입니다.
각 직군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외생기는 중복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ex. T1과 T2가 동시에 앙갚음을 사용한다면, 앙갚음 효과는 복수 적용 되지 않고 1개만 적용 됩니다.
학자-사기고양책과 현자-정상건강:예후의 보호막은 둘 중 보호막량이 높은 쪽만 적용됩니다.
예외로, 앙갚음을 제외한 탱커의 외생기는 곱연산으로 효과가 중첩됩니다.
ex. 어둠의 포교자(마법뎀 10% 감소),빛의 심장(마법뎀 10% 감소) = 81%의 마법 피해를 받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하드 컨텐츠에서는 외생기 조율이 아주 중요합니다.
외생기가 겹칠 경우, 뎀감이 비효율적인데다 외생기가 필요한 다른 구간은 뎀감 없이 공격을 맞게 되죠.
특히 현자+학자 / 2유격 / 2캐스터 조합일 경우 외생기 사용이 겹치지 않게 조율이 필요 합니다.
본인의 딜사이클도 수행하며 외생기를 제 때 사용하는게 실력입니다.
'그 때 저 버스트라 바쁜데요?' 라는 핑계로 외생기를 방치하시면 안 됩니다.

▶ 외생기 종류
※ 뎀감 / 회복 효과가 있지만, 발동이 제한적이고 효과가 크지 않은 스킬을 제외합니다.
(ex. 소환사-불사조의 날개, 픽토맨서-별무리 프리즘 등)
- 탱커
| 공통 | ![]() 앙갚음 (뎀감) |
|
| 나이트 | ![]() 단일 중재 (뎀감, 회복) 감싸기 (특수 - 대상자 피해 전이) |
![]() 광역 신성한 보호막 (보호막, 회복) 결연한 수호자 (뎀감) |
| 전사 | ![]() 단일 원초의 분노 (뎀감, 보호막, 회복) |
![]() 광역 뿌리치기 (보호막, 회복) |
| 암흑기사 | ![]() 단일 흑야 (보호막) 헌신 (뎀감) |
![]() 광역 어둠의 포교자 (마범 뎀감이 더 효과적) |
| 건브레이커 | ![]() 단일 강옥의 심장(뎀감, 회복) 오로라 (회복) |
![]() 광역 빛의 심장 (마범 뎀감이 더 효과적) |
- 근딜
| 공통 | ![]() 견제 (뎀감 , 물리 뎀감이 더 효과적) |
| 몽크 | ![]() 만트라 (회복 효과 상승) 금강주천 (회복) |
| 리퍼 | ![]() 신비의 문장 - 활성의 문장 (회복) |
- 유격대
| 공통 | ![]() 방랑하는 음악가 / 책략가 / 수세의 삼바 (뎀감, 명칭은 다르나 효과는 동일.) |
| 음유시인 | ![]() 대지신의 연가 (회복 효과 상승) |
| 기공사 | ![]() 무기 파괴 (뎀감) |
| 무도가 | ![]() 즉흥 연기 (회복, 보호막) 치유의 왈츠 (회복) |
- 캐스터
| 공통 | ![]() 정신교란 (뎀감, 마법 뎀감이 더 효과적) |
| 소환사 (스킬 사용이 조건부임) |
![]() 재생의 불꽃 (단일 회복) 태양의 빛(회복) |
| 적마도사 | ![]() 바매직 (회복 효과 상승) |
| 픽토맨서 | ![]() 템페라 덧칠 (보호막) |
기초편 가이드에서 딜 미터기(ACT 프로그램) 설치에 관해 서술했습니다.
아래 프프로그 문단부터는 ACT 프로그램이 필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아직 설치 전이라면 설치 후 정독하기를 권유합니다.
👋 1부 : 다운로드·설치 안내
안녕하세요. 해루@모그리입니다. 모험의 시작, Haerubot 다운로드 및 설치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1 현재 사용자 계정을 관리자로 설정하기 뭔가 잘 되는 유저들과 그렇지 않은 유저들의 차이가 뭔
ffxivhaeru.tistory.com
* 미터기와 함께 보는, FFlogs(프프로그).
FF Logs - Combat Analysis for FF
스퀘어 에닉스사의 MMO "파이널 판타지 14"의 전투 분석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 파판로그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전투 기록, 업로드, 정보 분석을 실시간으로 보고 무엇이 문제였는지 그리고 어떻
ko.fflogs.com
프프로그는 ACT 프로그램(딜 미터기) 사용자들의 로그를 한 곳에 모은 집계 사이트입니다.
로그 내 딜량 / 힐량 을 시각적으로 정리, 스킬 사용 횟수 및 타이밍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도 해요.
'자신이 얼마나 잘 했는가'의 비교를 위해서 또는 고수들의 택틱을 참고하기 위해 이용합니다.
회원가입 후, 프프로그 업로더를 설치/이용하시면 자신의 ACT 로그를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 프프로그 업로드에 관해서는 아래 글을 인용합니다.
FFLogs 프프로그 로그 업로드 방법
1. 프프로그영 어: https://www.fflogs.com/한국어: https://ko.fflogs.com/파이널판타지14의 ACT 플러그인을 통해 생성된 전투로그를 업로드하면 그를 분석하여,전투에 대한 정보를 보기 좋게 가공하여 보여
www.inven.co.kr
본인이 로그를 등록하지 않아도 파티원 중 한 명이 나와 함께 플레이한 로그를 공개 업로드하면 로그가 등록됩니다.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타인의 로그/통계를 검색 및 열람하는 건 가능합니다.
많은 유저들의 데이터로 고점 / 평균 값을 도출해 공개 하다보니, 자신의 성적표가 광장에 전시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다보니 딜에 욕심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늘 뜨거운 화젯거리가 되는 것 같아요.
프프로그 평가가 높다면 좋은 거지만, 그렇다고 우월감에 취해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면 안 된다...
· FFlogs 분석 하기
이 문단부터 복잡한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주로 다루게 될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DPS의 베스트와 미디안 파악.
- aDPS의 정의
- 생존기 / 외생기 확인
- 사망 로그, 사망한 원인 확인.
내용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이런 사용법이 있구나~ 간략히 보시고 넘기셔도 무관합니다.
- DPS / HPS 로그 확인하기
프프로그 사이트에서 특정 캐릭터를 검색하면 그 캐릭터의 로그 요약창이 뜨게 됩니다.

필터의 종류가 엄청 많습니다. 확장팩 별, 레이드 종류 별, 직업 별로 구분하여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절 레이드 처럼 페이즈 별로 보스가 등장할 경우 각 보스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패치 별로도 로그를 나눠 볼 수 있습니다. Echo 탭은 주제한 해제, 초월하는 힘이 적용된 기록입니다.
| 용어 | 뜻 | 비고 |
| Best % | 로그들 중 최고 평가 기록 | 평가가 가장 높은 직업을 우선 보여줌. |
| Highest rDPS | 최고 DPS(딜) 기록 | 로그 중 가장 높은 DPS를 보여줌. |
| Kills | 처치 수 | 현재 등록되어 있는 로그 갯수 |
| Fastest Kill | 가장 짧은 시간에 클리어한 기록 | 로그 중 가장 빠르게 클리어한 플레이 타임을 보여줌 |
| Med | 중간값 기록 | 로그들의 중앙값. 로그들의 평균 기록과 유사. |
※ Best, Med는 관련 내용을 아래에서 한 번 더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세부 랭크 탭(피해 탭)을 눌러보면 항목이 다양하게 있는데, 눈 여겨 볼 것은 피해 / 치유 항목 입니다.
- 피해(Damage) : 총합 딜, 총 피해량만 따집니다.
- 치유(Healing) : 총합 힐, 힐러 뿐만 아니라 다른 직업들의 회복 스킬도 포함.
- 유효힐(HP가 최대가 아닐 때 회복)만 집계. 힐을 많이 했더라도 오버힐(Overheal)은 제외.
- 보호막의 경우 대미지를 경감했을 경우 집계, 사용되지 않고 사라진다면 집계에서 제외
Q. 그럼 프프로그는 대체 무슨 기준으로 내 *DPS와 *HPS를 평가하고, 순위를 매겨주나요?
* DPS : Damage per Second, 초당 대미지. 딜, 딜량이라고 많이 표현 합니다.
* HPS : Heal per Second, 초당 힐량. 힐피라고 많이 표현 합니다.
게임 플레이는 변수가 많이 발생하는데다가 내가 플레이를 잘했는지, 못한 건지는 상대적입니다.
그렇기에 프프로그에 등록된 직업별 전체 로그와 자신의 로그를 두고 상대 평가로 수치화 합니다.

Hist. % : 해당 로그를 직업의 주간 로그들과 상대 평가했을 때 계산한 백분율.
100에 가까운 평가일수록 상위권이며, 같은 직업의 유저들 중에서 본인이 어느 정도의 실력인지 파악 가능합니다.
ex. 한 주 동안 등록된 나이트 로그 총 5개를 상대 평가 후 백분율 표시. 지난 주, 다음 주의 로그들은 반영하지 않음.
| 용어 | 뜻 | 비고 |
| Parses (왼쪽) | 해당 주에 등록된 동일 직업의 로그 수 | 일주일 동안 해당 로그의 직업으로 등록된 로그 수. |
| 패치 | 로그 등록 시, 게임 패치 버전 | 현역 당시 클리어인지, 이후 클리어인지 구분 가능. |
| Killed With | 공대 / 길드 표시 | 로그 등록자가 공대 / 길드를 설정 후 등록했다면 보여줌. |
| Today's % | 현재 기준 순위 | 업로드 당시의 순위와 현재 순위를 비교하여 보여줌 |
| Parses | 현재까지 등록된 동일 직업의 로그 수 | 현재까지 해당 로그의 직업으로 등록된 로그 수. |
가장 눈에 들어오는 알록달록한 숫자가 보이시나요?
흔히 말하는 파딱(파랑 딱지), 보딱(보라 딱지)이 바로 이 프프로그 순위를 가리키는 겁니다.
이 색은 상대평가가 아니라, 절대적인 등수에 따라 색이 정해집니다.
※ 로그 등록 시, 바로 랭킹에 반영되지 않고 24시간마다 집계하여 한꺼번에 반영합니다.
보통 로그가 파랑색의 평가를 받았다면 평균 성적이며, 1인분 한 것으로 봅니다.
| 노랑 | 분홍 | 주황 | 보라 | 파랑 | 초록 | 회색 |
| 상위 0.1 (1등) | 상위 1% | 상위 5% | 상위 25% | 상위 50% | 상위 75% | 최하위 |
그 중 유저들이 눈 여겨보는 평가 기준은 Best(베스트) / Median(미디안) 입니다.
- Best Perf. :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로그. 본인이 낼 수 있는 최대의 실력 지표.
- Median Perf. : 로그들의 중앙값. 로그들을 요약했을 경우 대표적인 평가. 평소 본인의 역량의 지표.
- Kills Ranked : 랭킹된 처치 수, 쉽게 말해 등록된 로그 갯수 입니다.
- All Star Points : 올스타, 120점 만점 기준인 상대평가.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직업의 등수로, 직업 별로 다름.
공대 모집 글에 '베스트 보딱 이상 받습니다.' 라는 문구 보셨나요?
가장 잘한 로그 순위가 보라(상위 25%)이상이라면 공대 가입 문의를 할 수 있다는거죠.
미디안 파딱의 경우 Med가 파랑(상위 50%)이상, 전체적으로 로그들의 평가가 좋아야겠죠?
다만 인게임 내 공개적인 곳에서 파딱 / 보딱 등을 언급할 경우 제재 대상입니다, 조심하시길.
Q. DPS라고 적혀있는데 앞에 소문자가 붙어있어요. 기존 DPS와 다른건가요?
단순히 DPS로만 볼 때, 특정 파티원에게 무도가 - 마주서기, 점성술사 - 카드 등의 버프를 몰아주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 파티원의 실력에 비해 더 높은 DPS 값이 도출 됩니다. DPS 값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거죠.
그래서 특정 기준에 따라 추가적으로 계산한 값의 DPS를 같이 참고합니다.
※ 아래 내용이 많이 어렵고 복잡합니다. rDPS의 개념만 알고 계셔도 충분합니다.
rDPS : 레이드 클리어에 실제로 기여한 DPS. 딜사이클을 제대로 수행하는 지에 대한 지표.
- rDPS = DPS - 파티원의 버프로 얻은 본인 딜 증가량 + 본인의 버프로 얻은 파티원의 딜 증가량.
- 버프 스킬 사용으로 파티원에게 딜 상승이 발생했다면, 이 파티원의 딜 증가량까지 합산.
- 반대로, 버프 효과를 받은 입장이라면 이 버프로 인해 발생한 딜 증가량은 제외.
(ex. 본인이 사용한 시너지 스킬로 파티원1의 딜량이 10 상승 했다면, 본인의 DPS에 +10 됩니다.
반대로, 파티원1이 사용한 시너지 스킬로 본인의 딜량이 5 상승 했다면, 본인의 DPS에 -5 됩니다.)
* nDPS : 본인 버프로 발생한 파티원의 딜 증가량, 파티원의 버프로 얻은 딜 증가량을 제외한 대미지.
- nDPS = DPS - 버프로 발생한 딜 증가량
* aDPS : 단일 개인 버프(ex. 공세의 탱고, 점성술사 - 카드)로 인한 딜 증가량만을 제외한 대미지.
- aDPS = DPS - 단일 개인 버프로 인한 딜 증가량.
* cDPS : 개인의 기량과 동시에 파티의 시너지를 종합적으로 보는 지표.
최상위권 공대가 파티 구성을 어떻게 해야 화력을 최대한으로 내는가에 대한 지표.
요약하자면, 프프로그에서 우선시 하는 DPS 지표는 버프에 의한 딜량을 합산 / 감산한 rDPS 입니다.
rDPS, nDPS, aDPS는 각자 기준점이 다른 것이지 어느 하나가 높다고 절대적인 DPS가 아닙니다.
본인이 딜사이클을 최적화 시켰고, 매끄러운 플레이를 했다면 셋 다 좋은 성적이 나옵니다.
rDPS : 본인의 딜사이클을 잘 수행했는가?
nDPS : 파티 조합의 편차를 줄였을 때, 본인이 낼 수 있는 순수 역량은 어느 정도인가?
aDPS : 파티의 화력(ex.시너지)에 잘 맞춰서 버스트를 잘 정렬했는가?
느낌 정도로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저는 퓨딜이고 파티원이 주는 버프를 받았는데, 버프로 인해 증가한 딜이 제 딜에서 제외면 손해죠?
아닙니다. 그랬다면 순위 1등은 항상 사바기흑 조합에, 시너지를 하나도 받지 않은 퓨딜이어야겠죠?
시너지의 유무와 관계 없이 극대, 직격 발생 확률이 많은 판이 DPS가 가장 잘 나옵니다. 극직망겜.
극대 / 직격 상승 효과를 받는다고 해서 무조건 극대 / 직격 딜이 발생하는 것도 아니잖아요.
또한 클리어 타임이 DPS 계산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 시너지의 유무는 큰 상관이 없습니다.
버스트가 끝나자마자 클리어를 해야 DPS 집계가 고점에서 종료되기 때문에 DPS 집계에 유리합니다.
10분 동안 버스트 총 5회, 필러 총 4회 / 11분동안 버스트 총 5회, 필러 총 5회를 비교해볼까요?
고화력 구간(버스트)이 총 5번인 것은 똑같지만, 후자는 저화력 구간(필러)이 1번 더 많습니다.
서로 평균치를 내보면, 당연히 저화력 구간을 1번 스킵한 전자가 더 높겠죠. 그 원리입니다.
* 분석이 궁금하다면 아래의 글을 인용해둡니다.
프프로그 RDPS와 시너지 매커니즘
www.inven.co.kr
Q. 절 로그는 딱지색이 잘 안 나오는데 제가 못하고 있는걸까요?
절 공대 모집 시에도 절 로그는 로그 랭킹을 잘 따지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절은 특성상 다운타임(보스가 사라지는 구간)이 길고, 필요에 따라서는 딜컷(공격 중단)이 필요합니다.
변형된 딜사이클 사용도 많으므로, 전체적인 딜보단 딜이 필요한 특정 페이즈(ex. 마지막 페이즈)의 DPS를 봐야 합니다.
그러니 클리어한 절 로그 20개 전부 회색 한자리 수준이 아닌 이상, 절 로그 색에 너무 집착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 로그 비교 및 딜사이클 분석하기
Q. 직업에 대해 이해도가 낮아서 다른 로그와 비교를 해봐도 문제가 뭔지 모르겠어요.
진단 사이트처럼 프프로그 분석기 사이트가 있으니, 이용해보셔도 좋습니다.
xivanalysis
Automated performance analysis and suggestion platform for Final Fantasy XIV.
xivanalysis.com



- 먼저 특정 로그의 상세 페이지 주소를 복사합니다.
- 위의 xivanalysis 사이트에 접속하여, 복사한 주소 페이지를 검색창에 붙여넣습니다.
- 잠시 기다리면 분석 사이트가 결과를 보여줍니다. 하단까지 찬찬히 읽어봅시다.
특히 맨 하단에 본인이 사용한 딜사이클이 가시성 좋게 띄워줍니다.
자신의 딜사이클 뿐만 아니라 타인의 딜사이클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물론 레이드마다 딜사이클은 변형이 있을 수 있고, 특정 상황까지 고려해서 분석하지 않으므로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ex. 업타임(공격을 쉬지 않고 꾸준히 한 정도)이나 도트 유지, 끊어진 콤보 스킬, 위빙(스킬 끼워넣기) 등
Q. 전체적인 프프로그 통계가 보고 싶어요.


프프로그 사이트에서 원하는 레이드의 메뉴를 선택하고, 그 중 '통계' 를 클릭합니다.
통계 페이지로 넘어가면, 상단에서 피해/치유, 특정 보스(페이즈), 직업별 등 여러가지 분류로 통계를 볼 수 있습니다
- 보이는 그래프에서 선보다 오른쪽 끝에 있는 점은 로그 상 가장 높은(고점) 로그 입니다.
- 선의 길이 : 해당 직업의 최저/최고 로그의 편차를 나타냅니다. 선이 길수록 직업 내 편차가 큽니다.
- 굵은 선의 길이 : 로그상 25%~75%를 표시, 굵은 선 중간에 그어진 세로선이 평균(50%)값입니다.
아래에 보시면 평균 DPS도 수치로 표시되어있고, 현재 등록되어있는 로그 수도 보여줍니다.
로그가 많은 직업일 수록 유저들이 해당 시즌에 선호하는 직업(메타 직업)이니, 참고할 수 있겠죠.
예시로 한 번 분석 해볼까요?
최고점을 찍은 직업은 픽토맨서입니다. 평균 값은 바이퍼와 픽토맨서 서로 유사합니다.
직업 내 편차가 가장 큰 직업은 흑마도사, 가장 작은 직업은 음유시인입니다.
현재 시즌에서 가장 선호되는 직업은 픽토맨서(로그 수 1,532개)로 추측됩니다.
:: 번외. 캐릭터명을 모르는데 프프로그 로그를 검색하는 방법은 없나요?
프프로그에 로그 비교 기능이 있답니다.

- Fight Length - 해당 로그와 유사한 클리어 타임을 가진 로그. (클리어 타임 시간을 조정하여 검색 가능.)
- Time Range - 해당 로그의 날짜와 비슷한 시기에 등록된 로그. (날짜 조정 가능.)
- Select Player - 비교하고 싶은 캐릭터 명 입력.
- Select Metric - Damage : 딜 / Healing : 힐 / Default : 선택 안함, 전체적으로 비교.
DPS / HPS 부분을 확인했으니, 생존기 / 외생기도 뜯어봅시다!
※ 설명을 위해 예시로 사용했을 뿐, 타인을 비난하는 의도가 전혀 없음을 사전에 고지합니다.
I. 생존기 / 외생기 사용 확인하기
평타 구간에 메인 탱커님이 아팠던 로그를 확인해봅시다. 힐러님의 케어도 원인이겠지만, 다른 원인은 없었을까요?
탱커들의 생존기 내역을 봅시다.


상단의 버프 탭을 클릭 후 확인할 파티원과 생존기를 선택하면 아래처럼 사용 횟수 / 사용 시간이 전부 뜹니다.
MT님은 생존기를 9분 동안 18번 사용하셨고, ST님은 생존기를 3번 사용하셨지만 그 중 MT님께는 한 번 드렸네요.
해당 레이드에서 강옥의 심장 사용 횟수는 평균 8번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그 사용 횟수가 적어 아쉽게 느껴집니다.
(ST 포지션이라면 MT 포지션에 비해 생존기 사용 빈도는 적을 수 밖에 없긴 합니다.)
상세페이지에 들어가기 전, 페이지를 내려 Defensive Buff 탭에서 요약으로도 생존기 확인 가능합니다!

I - i. 특정 구간 생존기 / 외생기를 보고싶은데요?
받은 피해 탭에서 All Abilities를 선택해봅시다. 몹이 사용한 모든 스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황색 표기는 물리 대미지 / 파란색 표기는 마법 대미지를 주는 공격 스킬입니다.
보고싶은 특정 구간을 선택하셨다면 상단의 이벤트 로그를 눌러볼까요?
저는 세계의 강하(탱버)를 선택했더니 이 구간에 사용한 생존기 및 받은 외생기가 모두 표시됩니다.


두번째 이미지의 첫 번째 줄을 볼까요?
세계의 강하는 원래 136373 (U : 136373) 대미지이지만, 철벽 방어 등으로 경감하여 총 대미지 41373로 처리했네요.
Q. 생존기 / 외생기 부족으로 죽은 경우는 어떻게 표시 되나요?

철벽방어 / 세라핌 등의 경감은 받았지만 생존기(극한방어)를 사용하지 않아 대미지 204346을 받고 즉사한 로그입니다.
탱커님의 HP보다 대미지 203919 (O:203913)가 더 들어와서 사망한 걸 알 수 있습니다.
숫자들 앞에 붙어있는 알파벳 약어는 뭔가요?
- A : 실드로 줄인 피해량
- B : 방패막기로 줄인 피해량
- M : 실드를 제외한 뎀감 요소를 모두 합친 값
- P : 받아넘기기로 줄인 피해량
- U : 뎀감 되지 않은 순수한 대미지 값
- O : 오버킬 대미지. HP를 초과해 들어온 대미지 값.
II. 사망 원인 분석하기
메뉴에서 사망 탭에 들어가면 1트 동안 죽은 자신/ 파티원의 사망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shot = 일격에 죽음, 즉사. 생존기 및 기믹 처리 실패.
- N.sec = N초 동안 받은 대미지 때문에 죽음. 힐 / 외생기 부족 또는 기믹 처리 실패.
| Killing Blow | Over | Last Three Hits | Dmg Taken | Healing Rcvd |
| 마지막 타격 | 사망 시각 | 마지막 공격 3타 | 사망 전 받은 대미지 | 사망 전 받은 힐 |

위의 예시 이미지를 분석하면, 5분 56초 쯤에 기믹 실수로 파티원이 맹독 대미지를 받고 사망한 것이죠.
그럼 5분 56초 쯤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데? 그 때 보스가 무슨 기믹을 사용하는데? 모를 수 있죠.
그 상황을 더 자세하게 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망한 캐릭터 명을 클릭하면, 사망 분석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어떤 힐 / 외생기를 받았는지도 표시 되고, 오른쪽 끝에 재생 표시를 누르면 리플레이 또한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망 원인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서 주의하셔야 합니다.
적에게 들어간 외생기는 사망 로그에 표시 되지 않으므로, 받은 피해 탭에서 따로 확인 해야합니다.
도트 계통은 Combined DoTs / HoTs로 단순하게 표시되고, 즉사 장판을 밟거나 장외사 하는 경우는 제대로 표시 되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엔 플레이 시간대를 계산하거나 녹화 영상이 있다면 영상을 판독하는게 훨씬 좋습니다.
마치며.
하드컨텐츠 가이드 작성을 시작할 때는 가벼운 마음으로 작성했는데, 욕심이 과했는지 내용이 점점 늘어나네요.
7.05 패치를 1주일 앞두고 작성을 시작했었는데, 결국 이제서야 세상에 내놓습니다...
저도 하컨 플레이를 위해 알아야할 지식이 이렇게 많이 필요할지 몰랐는데 새삼 공부해야할 게 많네요.
그렇지만 누구나 그랬듯이, 저도 하컨을 시작할 때 이 정보를 전부 다 알고 시작하진 않았습니다.
그러니 너무 겁먹지 마시고, 차근차근 단계별로 꾸준히 도전을 해보세요. 새로운 즐거움을 찾으실지도 모릅니다.
당부의 말을 하자면, 피드백을 너무 겁내지 마세요.
작성자인 저도, 프프로그 1등인 사람조차도 모르는 정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플레이 도중 피드백을 받았다면 개선의 의지를 가지면 됩니다. 못 한다고 뭐라 할 사람은 없습니다.
숙련자분들도 하컨 유입 분들께 몰아붙이는 것이 아닌, 너그럽게 피드백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글의 오류가 있다면 언제든 편하게 말씀해주세요.
업데이트 : 2025. 07. 12. / FF14 한국서버- 7.2패치 기준.
+문맥 정리 및 추가 설명 보강 완료.
외전 격인 ' 가이드 - FF14 전투 플레이 TIP ' 이 있습니다. 같이 참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클릭하시면 가이드 - 외전으로 이동합니다.
'FF14 > 레이드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FF14] PVE 하드 컨텐츠 입문 가이드 - 외전 (6) | 2025.03.08 |
|---|---|
| [FF14] PVE 하드 컨텐츠 입문 가이드 - 기초편 (3) | 2025.03.08 |























